인간이 스스로 영적 존재임을 믿어야 인류는 지속 가능한 삶을 살게 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는데~

제3장. 지속 가능한 사회   1. 탈 자본주의사회   1.1 상업주의에서 발현된 자본주의 유럽의 신분제 사회에서 상인의 지위는 낮았지만, 칭기스칸의 세계화로 동서양의 문물교류가 폭증하면서 대상인으로 변모하게 되어, 소위 자본가로서 영향력을 갖게 되었으며, 후일 자유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르네상스를 주도하면서 상업주의가 등장하게 되었고, 이어서 발전된 것이 자본주의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근대사회가 성립하게 된 배경에는 상업과 관련성이 … Read more

적극적 복지사회에서 적당히 일하고, 내면을 살펴보는 인간다운 삶을 누리며 살고자 하는 것은 욕심일까요?

제2장 포스트 자본주의   1. 신인류 분배양식   1.1 경제민주화 시민혁명 후 자유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근대사회가 성립하였다. 이는 경제적 자유주의를 위한 절차적 정의로써, 민주주의와 결합한 형태인 자유민주주의체제로써 소위 자본주의 체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자연법사상을 근간으로 하는 자유주의나, 철학적 상대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민주주의는 다 같이 인본주의이며 개인이 주체가 된다는 점에서 결합할 수 있지만, 복지에 대해 … Read more

국제여성환경 NGO 활동은 신인류가 겪어야 할 어려움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갈망의 표현임을 우리는 느껴야 합니다.

제4부 신인류   제1장 자본주의   1. 자본주의의 태동   인본주의를 근간으로 성립한 근대사회의 서구자본주의는 오늘날 대다수 나라의 경제 제도로 자리 잡고 있다. 하여 서구적 가치의 역사적 배경의 한 축을 이루는 고대 그리스의 역사를 이해한다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는 인류 최초의 대제국을 이룩한 알렉산더대왕(BC 356-323)은 자신을 신으로 숭배하도록 각 도시에 강요한 사실에서 고대 그리스가 … Read more

탈중앙화를 지향한 모계적 가치와 흡사한 비트코인에서 신인류의 삶의 방향을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요?

Ⅲ. 지구촌 시대   제1장. 신인류의 삶의 방향   대자연은 햇빛, 공기, 물 그리고 어떤 생명체이든 공존하면서 나름대로 역할을 할 수 있는 먹이사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특히 대자연에서 생성 진보하는 인간은 스스로 세상의 주인공임을 알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경이로운 일입니다. 이는 사람이 지구에 어떠한 목적이 있어 출현 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이유입니다. 물론 모계 신본주의 사회는 인간을 … Read more

사람이 마음 편하게 살 수 있는 적극적 복지사회를 만들어 관계의 삶을 살 수 있다면, 신인류 대박!

제2장. 적극적 복지사회   1. 적극적 복지사회를 향하여   근대사회가 성립된 후 민주적 생활양식이 보편화되었음에도, 구시대처럼 학대를 받으면서 숨죽이고 살아가는 여성이 많았습니다. 이는 부계사회의 등장 후 오랫동안 소외된 결과입니다. 예를 들어 절대 유일신이 불확실한 존재로 생각함에 따라 형성된 르네상스 시대를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성 폄하는 여전하여 17~18세기까지 초야권이 있었던 사실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산업혁명으로 소가족제도가 … Read more

2021년 대한민국 성평등 포럼

  여성가족부(장관 정영애)는 오는 11월 개최되는 「2021 대한민국 성평등 포럼」에 앞서 청년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서로 나누고 그 원인과 대안을 모색하는 공론장에 참여할 청년 100여 명을 오늘 9월 2일 ~ 오는 23일까지 모집한다. 공론장은 오는 10월 중 주제별로 온라인에서 개최되며, 그 내용과 결과물은 오는 11월 개최되는 성평등 포럼에서 발표된다. 오는 11월 2일과 3일 양일간 개최되는 「2021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