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릇
그릇은 사랑을 담는다. 초등시절 연탄제로 놋그릇을 닦는 어머니의 모습은 즐거움으로 가득했다. 광이 나는 놋그릇의 금빛 때문도 아닌 것 같다. 놋그릇에 담는 음식의 화려함도 아니다. 가족들이 깨끗한 그릇에 담긴 음식을 먹는 모습을 상상하는 것이다.
공기그릇보다 몇 배가 큰 밥그릇에 사랑을 꽉꽉 눌러 담는다. 밥을 다 먹고 빈 그릇을 보이면 함박웃음을 지으신다. 함박웃음 때문에 지각한 적도 있었다. 몸이 튼튼해야 총기가 있다고 했다. 굶지 말고, 밥 잘 먹어 건강하게 살라고 당부한다.
장모님도 큰 밥그릇에 밥을 가득 담는다. 다 먹지 못하여 미리 덜어 둔다. 예쁜 그릇에 정성을 다한 음식들은 맛도 좋다. 음식을 다 먹고 그릇이 예쁘다고 하면 그냥 주신다. 방문할 때마다 그릇 몇 개씩 주신다. 어머니들의 공통점은 일제강점기에 배고픔을 겪었다는 사실.
20세기 초엽 우리나라 인구가 1,200만 명 정도였다. 일제가 수탈한 양곡은 600 만석이었으니 600 만석이 부족하다. 부역자들의 착취로 인한 인플레로 민중들은 하루 한 끼 해결도 힘겨운 혹독한 시절이었다. 고대 한국부터 밥심으로 살아간 한민족이 40여 년간을 춥고 배고프게 살았다. 체형도 왜소해지고 인간성도 변형이 되었다. 본래 홍익인간 한민족은 밥을 많이 먹어 덩치가 크고 힘이 센 민족이라고 알려져 있다.
당시 프랑스의 어느 선교사가 ‘조선인은 왜인보다 훨씬 크고 피부가 희며 근엄하다’라고 전한다. 이폴리트 프랑댕은 ‘아리안족에게서는 흰 피부와 큰 키, 건장한 체형, 노란머리칼과 수염을 물려받았다. 한국인은 자신의 육체적 우수성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이런 자만심은 그들의 용기를 한층 자극한다. 날카로운 눈매, 유연한 몸동작은 몽골족으로부터 물려 받았다’고 했다.
‘장교들과 병사들은 그 아름다움과 풍요로움에 감탄했고 우리는 이런 감탄사를 수없이 들었습니다. “얼마나 좋은 기후, 얼마나 풍요로운 나라인가! 우리가 코친차이나가 아닌 이곳에 자리를 잡았더라면….!’ —샤를르 달레의 ‘한국교회사’, 1874년 —
이 정도만 해도 큰 밥그릇을 사용한 민족임을 알 수 있다. 선조들이 쌀의 우수성을 어떻게 알고 농사를 지었을까.
배고픔을 겪은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현상이 학창 시절 하숙집의 공기밥그릇에서 나타났다. 처음에 배가 고파 세 그릇을 먹었지만, 눈치가 보여 두 그릇으로 줄었다. 밖에서 군 것 질을 하며 배를 채웠다. 하숙집 공기 밥과 어머니의 밥그릇의 크기에서 서울에 대한 기대는 실망으로 변했다. 조선왕조 시대의 속담인 ‘말이 나면 제주도로 사람이 나면 서울로 가라’는 말을 의심했다.
각박한 삶을 살려고 기를 쓴 결과가 일본에 지배를 받았기 때문이다. 민주주의는 흩어지라고 한다. 지금도 시대에 역행하는 삶으로 인해 천문학적인 돈을 찍어내고 있다. 빚이 없어야 살 수 있는 100시대에 빚으로 살고 있다.
각박해진 오늘날 밥그릇도 작아지고 쌀 소비도 적다. 마음의 그릇도 작아지는 것을 느낀다. 한민족은 큰 밥그릇처럼 마음의 그릇도 크다. 홍익인간으로 살고자 하는 신념이 말해주고 있다. 반만년 역사를 이어온 저력에서 밥 힘이 느껴진다. 빛나는 그릇에 밥을 꾹꾹 눌러 담으며 웃으시는 어머니의 모습이 떠오른다. 사랑을 담은 장모님 그릇들은 아름답고 빛난다.
상대의 성을 존중하며, 쌓아 가는 공공선은 적극적 복지사회를 만드는 원동력이 됩니다. Respect the sex of…